반응형
안녕하세요 정보왕입니다.
오늘은 차량 자동차 비보호 좌회전 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매년 이런 정보는 조금씩 달라지고 있기에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비보호 좌회전은 아직도 많은 분들이 오해하고 있습니다
저도 예전에 이와 관련해서 이야기를 하다가 서로 맞다가 우기는 바람에 토론을 한적도 있었습니다.
특히 운전중에 빨간불에 안가고 있으니 뒤에서 빵빵했던 기억도 있습니다.
이럴때는 가면 안됩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자세히 보겠습니다.
비보호 좌회전이란 무엇일까?
- **신호등이 초록불(직진 신호)**일 때,
반대편 차량과 보행자에게 방해되지 않으면 좌회전 가능한 방식입니다. - 말 그대로 “내 책임하에” 좌회전하는 것이죠
➜ 교통사고가 나면 좌회전 차량 책임이 큽니다. - 이런점도 잘 알고 있어야겠죠?
비보호 좌회전 기본 규칙
- 직진 신호일 때만 좌회전 가능합니다
➜ 좌회전 전용 신호가 없고,
➜ 표지판에 "비보호 좌회전"이라고 적혀 있는 경우입니다 - 반대편 직진 차량과 보행자 우선
➜ 반대편 차량이 없을 때 가능합니다
➜ 횡단보도에 사람이 없을 때만 좌회전이 가능합니다. 저 멀리 사람이 걸어와도 가면 안됩니다. - 황색 신호일 땐 절대 금지
➜ 노란불일 때 돌면 신호위반입니다. 언제나 넓은 마음으로 운전해주세요
비보호 좌회전 표지판은?
- 흰색 바탕 + 파란 원형 화살표로 그려져 있습니다
- 아래에 "비보호 좌회전"이라고 적혀 있어요.
- 신호등이 따로 없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비보호 좌회전 가능한 상황 vs 불가능한 상황
상황가능 여부
반대 차량 X / 보행자 X | 가능 |
반대 차량 있음 | 불가 |
보행자 건너는 중 | 불가 |
황색 신호 / 적색 신호 | 불가 |
경찰 수신호가 있을 때 | 경찰 지시 따름 |
위반 시 벌칙
위반하면 신호위반 또는 안전운전의무 위반
- 범칙금 6만원 (승용차 기준)
- 벌점 15점~30점 (사고 시 더 커짐)
➜ 비보호 좌회전은 운전자 책임이 매우 큽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1. 비보호 좌회전, 반대편 차가 오는데도 돌았어요. 누가 잘못?
좌회전 차량 책임입니다.
반대편 차량과 충돌하면 좌회전 차량 80~100% 과실 인정될 확률 높아요.
2. 비보호 좌회전도 신호 지켜야 하나요?
무조건 직진 초록불에서만 가능 합니다.
황색이나 적색 신호일 땐 신호위반으로 단속됩니다.
3. 신호등 없는 교차로에서 비보호 좌회전?
신호등이 없다면 교차로 통행 우선순위에 따라야 해요.
- 우측 차 우선
- 직진·우회전 차량 우선
- 보행자 우선입니다
비보호 좌회전 안전하게 하는법
✔ 양쪽 사이드미러 확인
✔ 반대 차량 눈 마주치고 출발
✔ 보행자 무단횡단 주의 필요
✔ 황색불 바뀌기 전에 멈추기
✔ 급하게 돌지 말기
언제나 주변을 고개를 돌려서 잘 확인한후에 천천히 가길 바라겠습니다
정 무서우면 신호가 떨어졌을때 가면 됩니다.
비보호라고 해서 급하게 가면 사고가 날 위험이 높으니 언제나 여유롭게 천천히 가면 됩니다.
저도 상황에 따라서는 신호가 떨어지면 갈때도 있습니다
그럼 이만 글을 줄이겠습니다
오늘은 차량 자동차 비보호 좌회전 하는 방법 및 위반 과태료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반응형
'자동차 지식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로 차선 종류 규칙 색상 차이는?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합니다 (0) | 2025.03.20 |
---|---|
차량 자동차 사이드미러 맞추는법 손쉽게 해봐요 (0) | 2025.03.19 |
어댑티브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사용법 잘 알고 있으신가요? (0) | 2025.03.18 |
차량 자동차 후진주차 쉽게 하는법 공식 초보운전도 할 수 있다 (0) | 2025.03.17 |
버스전용차로 시간 조건 위반 과태료 벌점 총정리 (0) | 2025.03.14 |